Book(6)
-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읽고
"우리는 대개 어떤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전체 수보다는 자신이 아는 사람들 중에서 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비율에 영향을 받는다." "연구자들은 접촉자가 500명 정도로 인기가 아주 많은 사람은 접촉자가 50명 정도로 연결 수준이 보통인 사람에 비해 특정 행동을 받아들일 확률이 10배쯤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시 말해서, 연결이 많은 사람일수록 새로운 개념이나 행동의 정당성을 확신하기가 더 어렵다. 접촉자가 많은 사람일수록 그 사람의 마음을 바꾸려면 어떤 개념이나 행동을 받아들이는 주변 사람이 더 많이 필요하다." "연결이 많은 지도자는 접촉자들 중에서 소수의 얼리 어답터로부터 오는 긍정적 신호보다는 혁신을 받아들이지 않은 압도적 다수로부터 오는 대항 영향력에 훨신 큰 영향을 받는다. 반면 네트워크 ..
2024.11.10 -
'MUSI 무인양품의 생각과 말'을 읽고
"무언가의 기준이 되는 것은 '원래 그대로'의 혀애가 가장 좋습니다. 과도한 디자인은 사람이 뭔가를 이끌어낼 여백을 빼앗고 선정 기준을 세우는 걸 방해합니다." "거리를 걷는 여성들 모두 화장을 하고 립스틱을 칠하고 있지만, 사실은 그러고 싶지 않은 여성도 그렇게 해야만 하는 사회가 되고 말았다." "소비라는 것은 땅콩 먹기와 같아서, 절대 배가 고파서 먹는 게 아닙니다. 먹는 순간의 쾌감 때문에 먹는 거라 멈출 수가 없습니다. 다 먹는 순간 쾌감은 끝나기 때문에 쾌감을 지속시키려면 계속 먹는 수 밖에 없죠. 소비도 땅콩과 같아요." "납들할 수 있는 좋은 형태가 나올 때까지 노력해, 시간을 낭비하면서도 그 낭비를 없애려고 한다. 그 결과 '심플'한 물건이 탄생했을 때 그것을 만드는 데 들어간 노력과 마..
2024.11.01 -
'넛지의 천재들'을 읽고
"창의적인 사람들은 모두 외부의 영향을 선뜻 받아들인다. 뉴스피드 알고리즘은 자신과 연관 있는 아이디어만 노출시켜 외부의 영향을 막는다. 다양하고 무수한 다른 관심사를 탐험하라. 익숙한 삶의 반경을 넘어서 다른 자극을 적극적으로 찾고 외부의 영향을 기꺼이 수용하라. 뇌가 알아서 여과하고 연대하게 하면 예상치 못한 충돌로 비범한 아이디어가 탄생할 것이다." "행동 과학에 대한 통찰을 현실 세계에 적용하고자 한다면 행동과학 학술지를 곱씹고 있는 것보다 자신과 같은 분야나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 직접 부딪치며 영감을 얻는 편이 더 낫다. 여러 분야에 걸친 사람들과 팀을 이루어 협력하면 힘은 더 들겠지만 훨씬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탄생할 것이다." "예산의 70퍼센트를 안전한 분야에 할당하는 것은 타당하다. 예산의..
2024.10.27 -
'유저 프렌들리'를 읽고
User Friendly1. 컴퓨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분야: 미숙한 사용자도 이해하거나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며 디자인한.2. 확장된 의미: 사용하기 쉬운. 접근성이 높은. 다루기 쉬운. "크라우더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평가할 때 문제를 얼마나 잘 해결하는지보다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에게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를 기준으로 삼자고 했다.""기술은 시간이 지날수록 단순해져야 한다. 한 발 더 나아가,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훨씬 더 단순해져야 한다.""우리의 욕구를 물건으로 바꾸는 과정 중 잘못된 만한 일은 없을까?""기술적인 부분을 설계하는 데만 시간을 아주 많이 쏟고, 그런 곳에서 일하는 일상은 어떨지, 실제로 사람들은 어떤 일을 겪을지 이해하는 데는 전혀 시간을 들이지 않..
2024.10.20 -
'AI 전쟁 글로벌 인공지능 시대 한국의 미래'를 읽고
하정우 센터장은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가 범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 상황을 기반으로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한 문제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정의했다. 또한, 인공지능이 이러한 수준에 도달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매일 사용하는 능력이지만, 인공지능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라고 한다. 하정우 센터장의 예상대로라면, 우리 인간은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보다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앞으로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자연어를 사용하는 분야는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인공지능으로 쉽게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보지만, 제조업과 같은 물리..
2024.09.27 -
'가치투자 처음공부'를 읽고
저는 주식 투자를 시작한 지 햇수로 5년 차가 된 개인 투자자입니다. 주식 시장에서의 경력이라면 매우 짧은 기간이지만 코로나와 같은 특수한 상황을 겪기도 했죠. 처음 주식을 시작할 땐 저도 다른 투자자들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회전율을 기록하며 간신히 수익을 보곤 했습니다. 항상 불안에 떨며 생각이 날 때마다 매수한 주식의 호가창을 확인했고요.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고 있었죠. 그러다 시장에 풀린 돈이 회수되기 시작했고, 주식 시장은 메마른 유동성 앞에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때 저를 포함한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이 그동안에 본 수익을 모두 토해냈을 겁니다. 원금을 까먹지 않으면 다행이었죠. 이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가치 투자가 이에 대한 적당한 해결책이 될 수..
2024.09.01